<p></p><br /><br />역대 최악으로 남은 이번 동해안 산불. <br> <br>생태계가 모두 다 예전으로 돌아오려면 100년이 걸립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시뻘건 산불이 경북과 강원 일대를 집어삼켰습니다. <br> <br>수십 년 자란 나무들은 시커멓게 타버렸고 땅은 잿빛으로 변했습니다. <br> <br>송이버섯 주산지인 경북 울진. <br> <br>농민들은 생명력을 잃어버린 땅에 다시 버섯이 자랄 수 있을까 한숨만 나옵니다. <br> <br>[장순규 / 경북 울진군] <br>"송이가 살아난다면 내가 춤을 추겠어요. 집은 대출해서 다시 지으면 되잖아요. 그런데 (송이는) 희망이 없잖아요. 희망이. (송이 채취) 50~60년 다 잃어버렸으니 어떡해요." <br> <br>불이 꺼진 현장을 다시 찾아가봤습니다. <br> <br>나무는 숯으로 변해버렸고 흙은 만지기만 해도 부스러집니다. <br> <br>토양 표본 채취기로 30cm 깊이로 파보니 3분의 1은 재로 확인됩니다. <br> <br>물을 붓자 땅에 흡수되지 않고 흙이 허물어집니다. <br> <br>[강원석 /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] <br>"우산 역할을 하는 낙엽층이나 부식층들이 다 타게 되니까 없어진 거죠. 흡수가 확 되면 되는데 바로 물리적으로 이렇게 힘을 받게 되니까 침식이 일어나게 되는 거죠." <br> <br>산불에 녹은 솔잎의 기름기가 코팅처럼 덧입혀져 물의 흡수를 막는 겁니다. <br> <br>장마철 산사태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김용기 / 강원 강릉시] <br>"저기 돌이 흘러내려서 나무에 걸렸잖아요. 지나가다가 재수가 없으면 그냥 차가 그냥 완전히 돌에 맞고 인명피해가 나는 거예요." <br> <br>강알칼리성인 잿물은 이미 계곡물을 오염시켰고 바다로 흘러들어 수중 생태계를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잿더미가 빗물에 쓸려 내려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지망이 설치됐습니다." <br><br>숲이 본래 모습을 되찾으려면 얼마나 시간이 필요할까. <br> <br>22년 전 산불로 전소했던 강원도 고성을 찾았습니다. <br> <br>이곳은 자연이 스스로 회복 중인 자연복원지와 새 나무를 심은 인공복원지가 함께 조성돼 있습니다. <br><br>자연복원지는 인공적으로 조성한 숲에 비교해 나무 밀도는 낮지만 생태계 복원은 더 빠릅니다. <br> <br>동물 배설물도 눈에 띕니다. <br> <br>[강원석 /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] <br>"생태적인 측면을 봤을 때 적어도 초기와 어느 정도 시기까지 자연적으로 놔두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.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사람이 좀 도와줄 필요는 있는 거죠." <br> <br>또 다른 산불을 막기 위해선 울진 원전 부근이나 삼척 LNG 저장소 등 위험시설 주변엔 불에 강한 나무를 새로 심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> <br>대형 산불 후 회복시간을 추정한 보고서에 따르면 곤충류는 14년, 산림동물은 30년 이상, 토양은 100년 이상이 걸립니다.<br> <br>10일간 타들어가며 서울 면적의 40%를 앗아간 최악의 산불. <br> <br>산림과 생태계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 <br><br>PD : 김남준 장동하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donga.com